-
정보관리기술사 시험정보기출문제/정보관리기술사 2021. 5. 1. 21:09반응형
정보관리기술사 응시자격
△기사자격 취득 후 실무경력 4년
△산업기사 취득 후 실무경력 5년
△기능사 취득 후 실무경력 7년
△대졸(관련학과) 후 실무경력 6년
△전문대졸(3년제·관련학과) 후 실무경력 7년
△전문대졸(2년제·관련학과) 후 실무경력 8년
△기술훈련과정 이수자(기사수준) 이수 후 실무경력 6년
△기술훈련과정 이수자(산업기사수준) 이수 후 실무경력 8년
△실무경력 9년
- 대학원과 실무경력을 같은 기간 동안 병행했을 경우 한가지만 경력으로 인정 받게 된다.
- 시험 주관기관인 Q-net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확실할 것 같다. (문의: )
- Q-net에서 "응시자격 자가진단"도 가능하다.
△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 기술사 등급의 자격 취득자
-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(아래 표확인)+ 군 병과 경력인정 범위
21. 정보통신 211. 정보기술 모든 직무분야 212. 방송·무선 02. 경영·회계·사무 중 024. 생산관리
16. 기계 중 165. 항공
20. 전기·전자213. 통신 시험 방식: '필기시험' + '면접시험'
시험 항목: 통신이론, 유·무선통신, 데이터통신/네트워크 및 정보관리, 방송·미디어, 융·복합기술 및 최신기술, 법규 및 정책 등 정보통신 관련 전 분야
- 정보통신분야 기획, 연구, 설계, 분석, 시험, 운영, 시공, 감리, 평가, 진단, 사업관리 등의 업무 및 이에 관한 기술자문, 기술중재, 기술지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확인
합격률: 평균 5% 정도
2021년 제2회 정보통신기술사 필기시험은 7월 10일에 시행 예정 (자격미달)2022년 수검예정!
◇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
‘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’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공인자격증으로 컴퓨터시스템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으로 풍부한 실무경험에 따라 다양한 기술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 평가
시험유형을 살펴보면 필기시험은 단답형·주관식 논술형으로 하드웨어·소프트웨어 시스템에 관한 분석, 설계 및 구현, 그 밖에 컴퓨터 응용에 관한 내용 등을 치르고 실기시험은 구술형 면접으로 앞선 필기시험과 비슷한 주제로 30분 정도 시험을 치르게 됩니다.
총평 : 자격증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기술사 자격증은 시험에 응시하기도, 합격하기도 굉장히 까다롭지만, 이해 위주로 개념을 공부하고 꾸준한 반복 학습이 합격 여부를 가져올 것입니다.
출처 :(경력인정 관련 궁금증 - 연구/폐업/프리랜서 경력) m.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dongho70&logNo=39168447&proxyReferer=https:%2F%2Fwww.google.com%2F
(경력인정 관련 궁금증 - 군 경력) m.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jata2018&logNo=221583836094&proxyReferer=https:%2F%2Fwww.google.com%2F
(기술사 응시자격) www.q-net.or.kr/crf006.do?id=crf00603&gSite=Q&gId=
728x90반응형